Re:제로부터 시작하는 갓생
[TIL.v1] 25/03/10 본문
< TIL 반드시 들어가야 할 내용 >
1. 문제: 어떤 문제가 있었는지
2. 시도: 내가 시도해 본 것들 (자세히 쓰기)
3. 해결: 어떻게 해결했는지
4. 배움: 뭘 새롭게 알았는지 (자세히 쓰기)
우울해하지 마십시오!
우울과 우웅은 한 끗 차이입니다!
우울해말고 귀여워지십시오
다 같이: 우웅~
# 1.
출근한 뒤 오늘 하루를 돌아보자
* 오전
selenium으로 크롤링 코드진행 시도
예외처리 없기 위해 코드 로직에 대한 전개 방식 고민
크롤링으로 어디서 어떤 내용과 값을 가져와야 하는지? 도큐 확인
WBS 레퍼 참고 후 파일 생성
* 오후
오전에 미처 마무리 하지 못한 크롤링 이어서 진행
크롤링으로 카테고리+숫자 데이터 추출 후 csv파일 저장
WBS 파일 작성(진행중)
계획했지만 오늘 하지 못한 일
WBS chart 작성 마무리 못했음...
그래도 아주 작은 데이터 뽑은 게 어디냐며...
내일 해야 할 일
streamlit으로 오늘 저장한 데이터 적재 시도
마저 크롤링...그리고 기존 코드 review
이번 주에 확인해야 할 사항
3/4 | * 디지털 마케팅이란 무엇인가? * 무슨 직종인가? * 광고 마케팅이란 무엇인가? * 어떤 종류가 있는가? * API도큐읽기 * Streamlit * 메타 API * Naver API |
3/5 | * 크롤링 공부 * 유튜브 playwright python 공부, 구글링 등 |
3/6 | * 여전히 playwright |
API 읽는 법과 필요내용 찾는 법 자세히...
배운 점
아주 작은 부분이라도 여기에 코드를 기재할 수는 없지만
크롤링을 하기위해 어떤 부분을 주의해야하는지? 를 유의하며 하나하나 스스로 코드를 진행해봤다.
+) 3/8 3기 QnA
* 커서AI
- 정의: AI기술로 데이터 처리와 예측을 수행하는 도구나 알고리즘을 의미
- 특징: 특정작업을 자동화하거나 지원하는데 초점
* MMM(Marketing Mix Modeling)
- 정의: 여러 마케팅 요소(광고, 가격, 판촉 등)가 판매나 ROI(Return on Investment)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기법
- 설명:
목적: 각 마케팅 채널의 효과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예산을 최적화
방법론: 통계분석(회귀 분석 등)을 활용해 과거 데이터를 기반으로 마케팅 성과를 측정
- 예시
한 브랜드가 TV 광고, 디지털 광고, 할인 프로모션을 진행한 뒤, 각각이 매출에 기여한 비율을 분석
MMM 분석 결과로 TV 광고는 30%, 디지털 광고는 50%, 프로모션은 20%의 영향을 미쳤다는 결론 도출
* 내가 할 수 있다라는 것을 보여줘야함
* 자격증의 중요도? 일을 시작하고보니 다들 가지고 있더라...SQLD&ADSP
+ TensorFlow Developer Certificate+ Google Data Analytics Certificate
* 태블로 잘하는 것이 큰 강점이 될 수 있다
기타
* 문득 일을 하다보니 코드만 한바가지 보고있다가 들었던 생각 메모
항상 잊지말자! 데이터 분석은 코드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인사이트 도출을 통해 의사결정에 도움을 주는 것이다
일단은 차근차근 해보자
* 점심시간에 랑님과 음료수 사들고 산책 겸 한 시간여 광합성하면서 걸었다
오늘의 운세! 내 행운지수는 98! 소소한것으로부터 웃음을 찾는 나...
# 2.
우웅~
'Daily > TI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TIL.v1] 25/03/12 (1) | 2025.03.12 |
---|---|
[TIL.v1] 25/03/11 (0) | 2025.03.11 |
[TIL.v1] 25/03/07 (0) | 2025.03.07 |
[TIL.v1] 25/03/06 (0) | 2025.03.07 |
[TIL.v1] 25/03/05 (4) | 2025.03.05 |